먼저 서평을 시작하면서 '그릿'이라는 단어를 설명하고 싶다.
그릿이란 단어는 이책의 저자이자 미국의 심리학자인 앤절라 더크워스가 Growth(성장), 회복력(Resilence),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 끈기(Tenacirty)의 앞글자를 따 개념화한 용어이다.
이 책은 우리의 성공은 IQ, 재능, 환경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열정적인 끈기의 힘에 좌우된다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저자가 IQ, 재능, 환경의 영향을 부정하고 있지는 않다. 다만 그 어떠한 성공의 요소들 보다 끈기가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저자는 그릿이 성공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던 여러 사례와 연구들을 보여주며, 열정적 끈기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동시에 의식적 노력하라, 목표의식을 가져라는 등 올바르게 그릿을 기르는 방법 또한 설명해주고 있다.
이 책을 읽기 전 또는 초반부에는 단순히 '열심히 노력하고 버텨라'라는 메시지만 전해주는 책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읽어 나아갈수록 이 책이 던지는 주요 핵심 메시지는 '성장'이라는 점을 깨달았다.
성장이 없는 인내는 이 책의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아닌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는 '성장'이라는 열매를 얻기위해 노력하고 버티고 인내해야 한다. 하지만 인내의 과정 속에서 우리가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에 대한 '메타인지'와 함께 의식적인 노력으로 해당 분야의 성장을 추구해야한다고 말하는것 같았다.
이 책을 읽으며 내가 걸어온 길들을 돌아보며 반성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나는 과연 어떠한 분야 또는 공부에 끈기있게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인적이 있었는가? 그리고 좋은 결과와 성장을 이룬적이 있었던가..?'에 대한 질문을 이 책을 읽으며 끊임없이 던진것 같다.
이 질문을 나에게 던지는 순간 한없이 부끄러워지는 나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수능(대학입시), 입사 및 퇴사, 취미(드럼배우기), 외국어배우기 등 가볍고 무거운 순간들이 뒤섞인 내 삶의 발자취 중에서 한가지라도 끊임없이 파고들어 내가 원한 결과와 성장을 얻은게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지금까지는 여러가지에 도전해보고 내가 어떠한 것에 흥미를 느끼는지 어떠한 것에 재능이 있는지를 찾는것이 미덕이라고 생각해왔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인내를 가지고 꾸준히 한 일들에서 사소한 차이에서 흥미를 느끼는 사람들이 그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생각해보니 그렇다.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다. 어떠한 일에 적응하면 지루한 순간들이 오게 마련이고 또 다른 것들을 찾게된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그릿의 척도가 높은 사람들은 그러한 지루함, 정체기의 순간들을 인내하고 넘어서서 더 큰 흥미와 즐거움을 추구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인내를 가능케 하는 것은 흔들림 없는 목표 덕분이며, 그 목표는 높은 목적의식(나 뿐만 아니라 공익을 위한 목적의식 등)에서부터 비롯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었다.
이 책을 읽으며 그릿이 없는 나의 모습을 합리화 하는 나 자신을 반성할 수 있었다.
해외취업을 앞둔 내가 계획하고 있는 직업 (마케팅 / 무역) 또한 취미 및 외국어배우기 등 뿐만 아니라 앞으로 대할 나의 삶속에서 그릿을 가지고 인내의 열매를 즐길 수 있도록 이 책의 내용과 메시지들을 마음속 깊이 새겨야 겠다.
댓글 영역